미국 J-1 비자의 212(e) 웨이버 - No Objection

이미지
여기서는 미국 J-1 비자의 2년 본국거주의무 212(e)가 부여된 경우 No Objection Statement (NOS)에 따라 면제 ( waiver ) 신청을 하는 과정에 대해서 짚어보겠습니다. 2년 본국거주의무로 인한 제약과, 적용되는지의 유무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팅에 더 자세하게 소개되어 있습니다. https://swstar77x.blogspot.com/2023/01/j-1-2-212e.html No Objection Statement라는 것은 J-1 비자를 소지한 사람이 본국 (home country)에 귀국하지 않고 미국에 계속 남는것에 대해 본국 정부에서 반대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공식적으로 표명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J-1 비자 소지자가 미국 소재 본국의 대사관을 통해 신청을 하면, 심사를 거친 후에 대사관에서 미국 국무부로 NOS를 전달하게 됩니다. 한국 국적을 가진 사람이 NOS를 통해 웨이버를 신청하는 경우 주미 한국대사관이 아닌 관할 영사관을 통해 신청을 하라고 안내되어 있는데요. J-1 프로그램을 통해 학업이나 연구를 하는동안 소속된 학교나 연구소의 소재지를 기준으로 관할 영사관이 어디인지 정해집니다. DS-2019 의 Primary Site of Activity 항목에서 소재지의 주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는 포닥을 미시간 (MI) 주에 있는 학교에서 한 관계로 시카고 총영사관을 통해 접수했습니다. 만약 여러 학교에서 J-1비자로 학업이나 연구를 한 경우에도 웨이버 신청은 한번에 해야 합니다. DS-2019 가 여러개 있을 경우는 주미 한국대사관이나 총영사관에 문의해서 어디로 접수할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신청서를 접수하기에 앞서서 J-1 프로그램이 NOS를 통해 웨이버를 신청하기에 적합한지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다른 포스팅에서도 언급했듯이 2년 본국거주의무가 부여된 이유에 따라서 웨이버의 난이도가 달라지기 때문인데요. 미국 국무부에 advisory opinion을 신청하면 finding letter이

수학 공부 - 합계 출산율의 정의와 해석

현재 한국의 최대 문제점 중의 하나로 떠오른 것이 저출산이죠. 사회 전체의 출생아 숫자를 수치화하기 위한 중요한 개념 중의 하나가 합계출산율 (total fertility rate, 줄여서 TFR)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합계출산율의 정의와 그 값을 어떻게 해석할수 있는지를 간단히 짚어봅시다. 특정 시점에서의 합계출산율은 연령별 출산율을 전부 더한 값으로 주어집니다. \( T \)년도에서의 합계출산율 \( \Gamma (T) \)은 연령별 가임기 여성과 출생아 수로부터 계산할 수 있습니다. \( T \)년도에 \( x \)세인 여성의 숫자를 \( N_{\textrm{fe}} (x, T) \)라고 하고, 이들이 낳은 출생아의 숫자를 \( N_{\textrm{ch}} (x, T) \)라고 한다면 합계출산율은 다음과 같이 주어지겠죠. \[ \Gamma (T) = \sum_{x = 15}^{49} \frac{N_{\textrm{ch}} (x, T)}{N_{\textrm{fe}} (x, T)} \] 합계출산율의 의미를 더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여성 1명이 평생동안 낳는 출생아 숫자의 분포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황을 상정해 봅시다. \( x \)세인 여성이 낳는 출생아 숫자의 평균값을 \( \mathcal{P}_{\textrm{birth}} (x) \)라고 한다면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하게 됩니다. \[ N_{\textrm{ch}}(x, T) = \mathcal{P}_{\textrm{birth}} (x) \times N_{\textrm{fe}} (x, T) \] 이를 합계출산율을 구하는 공식에 대입해보면, 일정하게 유지되는 값을 얻을 수 있게 됩니다. \[ \Gamma = \sum_{x = 15}^{49} \mathcal{P}_{\textrm{birth}} (x) \] 그리고 그 값은 여성 1명에 평생동안 낳는 출생아 수의 평균값이 되는 것이죠. 각 연령에서 낳는 출생아 숫자를 모든 연령에 대해서 합산하면, 평생동안 낳는 출생아 숫자가 되는 것입니다. 요약하자면

미국 J-1 비자와 2년 본국거주의무 212(e)

이미지
이번 포스팅에서는 미국 체류신분 중의 하나인 J-1과 2년 본국거주의무에 대해서 제 경험을 토대로 간략히 짚어보겠습니다. 공식적으로 J-1은 교류방문자 (Exchange Visitor, 줄여서 EV)를 위한 비자로서, 교환학생이나 교환교수 등의 신분으로 미국을 단기 방문하는 사람들에게 발급됩니다. 뿐만 아니라, 미국 대학교나 연구소에 박사후 연구원 (Post-doctoral researcher)으로 일하러 가는 경우에도 J-1 비자를 발급받아서 가는 경우가 많죠. J-1 비자와 관련하여 가장 먼저 짚고 넘어갈 점이라면, 미국에서의 합법적인 체류신분을 보증하는 문서는 여권에 붙은 비자 스탬프가 아닌  DS-2019 라는 점입니다. 미국의 학교나 연구소에서 초청이나 오퍼를 받고나면 발급받을 수 있는 DS-2019는 "Certificate of Eligibility for Exchange Visitor Status"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는데요. 교류방문자가 받는 재정지원의 출처와 기간 및 전공 등에 대한 세부사항을 담고 있는 중요한 문서로서, 원본을 잘 보관하고 있어야 합니다. 가능하면 DS-2019를 스캔해서 PDF 형식으로 저장해 두는것도 좋겠죠. 결론적으로 미국에 입국할때는 여권에 붙어있는 J-1 비자와 더불어 유효한 DS-2019를 함께 보여줘야 합법적인 체류신분을 인정받고 입국이 가능한 것입니다. 비자가 만료되어도, DS-2019가 유효하다면, 미국에 머무르는데는 문제가 없습니다. 반대로 비자의 유효기간이 남아있어도 DS-2019가 만료되면 미국을 떠나거나 체류신분을 갱신해야 합니다. 저 같은 경우도 2020년 초에 한국에 다녀온 이후 코로나 때문에 미국에 계속 머무르는 동안 J-1비자는 만료되었습니다만, DS-2019를 연장한 관계로 문제가 없었습니다. 일반적으로 DS-2019는 교환방문 프로그램이 끝나는 날짜에 만료됩니다만, 그 이후에 주어지는 30일간의 유예기간 (grace period)동안 미국에서 계속 체류할 수 있습니다. 간단

C# 전산수학 - 정적분을 통한 원주율 계산

이미지
여기서는 C#으로 원주율의 근사값을 계산하는 간단한 프로그램을 만들어 봅시다. 원주율을 계산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만, 이번 포스팅에서는 정적분을 이용해서 근사값을 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크탄젠트 함수의 도함수를 적분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원주율을 유리함수의 정적분으로 나타내는 것이 가능합니다. \[ \begin{array}{l} \displaystyle \pi = 4 \left[ \arctan{(1)} - \arctan{(0)} \right] \\ \displaystyle \phantom{\pi} = 4 \int_0^1 du \left[ \frac{d}{du} \arctan{(u)} \right] \\ \displaystyle \phantom{\pi} = 4 \int_0^1 du \, \left( \frac{1}{1 + u^2} \right) \end{array} \] 먼저 적분대상이 되는 함수 (integrand)와 적분 구간을 매개변수로 받아서 정적분의 근사값을 구하는 함수를 작성하는것이 편리합니다. 여기서는 사다리꼴 공식을 통해 계산을 하게 될텐데요. 수학적인 원리와 C언어 프로그래밍을 이용한 예시는 다음 포스팅에 더 자세하게 소개되어 있습니다. 사다리꼴 공식을 이용한 C/C++ 수치 적분 C# 소스 코드입니다. IntegralTrapezoidal.cs [ 다운로드 ] using System ; namespace MathTools { class Integral { public static double get_trapezoidal ( double xmin, double xmax, double eps_precision, Func< double , double > integrand) { double ret_now = 0.0 ;

MathJax를 이용해서 LaTeX 수식 삽입하기

 여기서는 MathJax를 사용해서 블로그 포스팅에 LaTeX 수식을 삽입하는 방법에 대해서 짚어보겠습니다. MathJax는 여러 수식을 표현할 수 있게 해주는 자바스크립트 엔진으로서, HTML을 수정할 수 있는 블로그 플랫폼에서는 손쉽게 설치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공식 웹사이트에 자세한 설명이 있고, 스크립트를 받을 수 있습니다. https://www.mathjax.org/ Getting Started 탭의 Web Integration 항목을 찾아들어가면, HTML 코드를 볼 수 있는데요. 블로그의 스킨 편집 기능을 통해 <head> 와 </head> 사이에 HTML 코드를 붙여넣으면 설치가 완료됩니다. 문장 안에 수식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 및 \) 사이에 입력하고자 하는 수식을 LaTeX 문법에 맞게 적어주면 됩니다. 예를 들어서 반경이 \( r \)인 원의 넓이 \( A \)는 \( A = \pi r^2 \)라고 쓸 수 있겠죠. 수식이 크거나 길어서 한 줄 전체를 할당하고 싶은 경우, \[ 및 \] 사이에 적어주면 되겠습니다. 예를 들어서 정적분을 통해서 원주율을 구하는 공식의 경우, 적분대상이 되는 함수가 유리함수이기 때문에 문장 안에 넣기보다는 별도의 줄에 가운데 정렬로 입력하는것이 깔끔합니다. \[ \pi = \int_{-\infty}^{\infty} dx \left( \frac{1}{1 + x^2}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