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미국생활인 게시물 표시

미국 J-1 비자의 212(e) 웨이버 - No Objection

이미지
여기서는 미국 J-1 비자의 2년 본국거주의무 212(e)가 부여된 경우 No Objection Statement (NOS)에 따라 면제 ( waiver ) 신청을 하는 과정에 대해서 짚어보겠습니다. 2년 본국거주의무로 인한 제약과, 적용되는지의 유무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팅에 더 자세하게 소개되어 있습니다. https://swstar77x.blogspot.com/2023/01/j-1-2-212e.html No Objection Statement라는 것은 J-1 비자를 소지한 사람이 본국 (home country)에 귀국하지 않고 미국에 계속 남는것에 대해 본국 정부에서 반대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공식적으로 표명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J-1 비자 소지자가 미국 소재 본국의 대사관을 통해 신청을 하면, 심사를 거친 후에 대사관에서 미국 국무부로 NOS를 전달하게 됩니다. 한국 국적을 가진 사람이 NOS를 통해 웨이버를 신청하는 경우 주미 한국대사관이 아닌 관할 영사관을 통해 신청을 하라고 안내되어 있는데요. J-1 프로그램을 통해 학업이나 연구를 하는동안 소속된 학교나 연구소의 소재지를 기준으로 관할 영사관이 어디인지 정해집니다. DS-2019 의 Primary Site of Activity 항목에서 소재지의 주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는 포닥을 미시간 (MI) 주에 있는 학교에서 한 관계로 시카고 총영사관을 통해 접수했습니다. 만약 여러 학교에서 J-1비자로 학업이나 연구를 한 경우에도 웨이버 신청은 한번에 해야 합니다. DS-2019 가 여러개 있을 경우는 주미 한국대사관이나 총영사관에 문의해서 어디로 접수할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신청서를 접수하기에 앞서서 J-1 프로그램이 NOS를 통해 웨이버를 신청하기에 적합한지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다른 포스팅에서도 언급했듯이 2년 본국거주의무가 부여된 이유에 따라서 웨이버의 난이도가 달라지기 때문인데요. 미국 국무부에 advisory opinion을 신청하면 finding letter이...

미국 J-1 비자와 2년 본국거주의무 212(e)

이미지
이번 포스팅에서는 미국 체류신분 중의 하나인 J-1과 2년 본국거주의무에 대해서 제 경험을 토대로 간략히 짚어보겠습니다. 공식적으로 J-1은 교류방문자 (Exchange Visitor, 줄여서 EV)를 위한 비자로서, 교환학생이나 교환교수 등의 신분으로 미국을 단기 방문하는 사람들에게 발급됩니다. 뿐만 아니라, 미국 대학교나 연구소에 박사후 연구원 (Post-doctoral researcher)으로 일하러 가는 경우에도 J-1 비자를 발급받아서 가는 경우가 많죠. J-1 비자와 관련하여 가장 먼저 짚고 넘어갈 점이라면, 미국에서의 합법적인 체류신분을 보증하는 문서는 여권에 붙은 비자 스탬프가 아닌  DS-2019 라는 점입니다. 미국의 학교나 연구소에서 초청이나 오퍼를 받고나면 발급받을 수 있는 DS-2019는 "Certificate of Eligibility for Exchange Visitor Status"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는데요. 교류방문자가 받는 재정지원의 출처와 기간 및 전공 등에 대한 세부사항을 담고 있는 중요한 문서로서, 원본을 잘 보관하고 있어야 합니다. 가능하면 DS-2019를 스캔해서 PDF 형식으로 저장해 두는것도 좋겠죠. 결론적으로 미국에 입국할때는 여권에 붙어있는 J-1 비자와 더불어 유효한 DS-2019를 함께 보여줘야 합법적인 체류신분을 인정받고 입국이 가능한 것입니다. 비자가 만료되어도, DS-2019가 유효하다면, 미국에 머무르는데는 문제가 없습니다. 반대로 비자의 유효기간이 남아있어도 DS-2019가 만료되면 미국을 떠나거나 체류신분을 갱신해야 합니다. 저 같은 경우도 2020년 초에 한국에 다녀온 이후 코로나 때문에 미국에 계속 머무르는 동안 J-1비자는 만료되었습니다만, DS-2019를 연장한 관계로 문제가 없었습니다. 일반적으로 DS-2019는 교환방문 프로그램이 끝나는 날짜에 만료됩니다만, 그 이후에 주어지는 30일간의 유예기간 (grace period)동안 미국에서 계속 체류할 수 있습니다. 간단...